특허출원등록은 아이디어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사업화 과정에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는 핵심 수단입니다. 그러나 특허는 ‘출원’한다고 바로 등록되는 것이 아닙니다. 특허출원등록은 발명자가 아이디어를 제3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절차입니다.
이 글에서는 특허 출원에서 등록까지의 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리며, 기업과 개인이 주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도 함께 안내드립니다.
특허출원등록 이란?
특허출원등록 : 특허청에 발명의 내용을 제출(출원)하고, 심사를 거쳐 등록이 결정되는 전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문서를 제출하는 행위가 아닌, 권리를 확보하고 보호받기 위한 지식재산 절차입니다.
1. 왜 중요한가?
- 발명의 권리화: 타인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법적으로 막을 수 있음
- 사업화의 기반: 투자, 기술이전, 라이선싱 등에서 강력한 지위 확보
- 글로벌 진출 대비: 국제출원의 기초가 됨 (PCT, 해외 특허 출원 등)
2. 특허출원등록 절차 단계별 설명
2-1. 선행기술 조사
특허 출원 전, 유사한 기술이 이미 존재하는지 조사합니다. (KIPRIS, WIPO 등 활용)
2-2. 명세서 및 청구항 작성
출원 기술의 구성, 작용 효과, 목적 등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권리 범위를 결정하는 청구항 설정이 핵심입니다.
2-3. 특허 출원 접수
특허청(KIPO)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출원서를 제출합니다. 출원일이 바로 우선권 기준일이 됩니다.
2-4. 공개 및 심사청구
출원 후 18개월이 지나면 자동으로 내용이 공개되며, 별도로 심사청구를 해야 등록 심사가 진행됩니다.
2-5. 심사 및 등록 결정
심사관이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신규성, 진보성 등을 판단합니다. 심사를 통과하면 등록 결정이 내려집니다.
2-6. 등록료 납부 및 특허권 발생
등록료를 납부하면 특허권이 발생하고, 20년간 권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특허출원 시 유의사항
- ✏ 청구항 작성의 명확성: 권리범위가 불명확하면 거절 사유가 될 수 있음
- 출원 시기: 선출원주의, 빨리 출원한 자가 권리를 확보함
- 명세서 내용의 일관성: 기술 설명과 청구항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함
- 공개 전 주의: 출원 전 발표나 공개는 신규성 상실로 거절될 수 있음
4. 등록 후의 절차 및 활용
- 로열티 수익 창출: 기술이전, 라이선스 계약 등으로 직접 수익화 가능
- 침해 대응: 무단 사용 시 민형사상 권리 행사 가능
- 포트폴리오 구성: 관련 기술군으로 추가 출원하여 IP 전략 강화
5. 기율특허법인의 특허출원등록 컨설팅 강점
기율특허법인은 풍부한 출원경험과 업종별 특화 전문가를 보유한 IP 전문 특허법인으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명세서 전략 작성: 기술 구성과 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청구항 설계
- 심사 대응 경험 풍부: 거절이유 통지서 대응 전략 제공
- 국내외 출원 연계: PCT, 미국, 중국 등 해외 특허 연계 가능
- 사업화 연계 지원: R&D 사업, 기술이전, 투자유치에 연계한 IP 활용 방안

특허청 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