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균소재특허 등록 사례, 필요 데이터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기율 특허법인 변리사 석종헌입니다.
항균소재특허는 특정한 성분 조합, 제조 공정, 또는 새로운 효능을 가진 항균 소재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제조 및 사용에 관련된 기술적인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위생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항균소재특허는 성분의 조합, 제조 공정, 특정 용도에 대한 특허 등 다양한 형태로 등록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특허등록이 된 사례들부터 등록에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글을 살펴보신 후 더 자세한 등록 가능성 검토, 비용 안내 등이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글 하단의 링크를 통해 저와의 컨설팅을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주신 내용을 검토한 후 등록 가능성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항균소재특허 등록이 된 발명 사례들
1) 신규 항균 물질(또는 조합)의 사용 |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항균 물질 또는 이미 알려진 항균 물질의 새로운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이며,
예를 들어, 박테리아에 대해 효과적인 새로운 화합물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항균제를 혼합하여 기존의 것보다 더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에 특허가 될 수 있습니다.
<사례>
신규한 화합물 A가 특정 병원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기존 항균제 B와 C의 조합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경우
특정 소재(예, 섬유, 플라스틱, 금속 등)와 특정 물질의 조합을 통해 성질을 부여하는 경우 특허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히 물질을 첨가하여 항균성을 부가했다는 것을 넘어서는,
예를 들어, 특정의 물질을 넣은 경우에만 다른 물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항균성이 부여된다는 등의 특징이 필요합니다.
<사례>
폴리에스터 섬유에 항균제 D를 첨가하여 항균 폴리에스터 섬유를 만드는 경우
플라스틱 필름에 화합물 E를 혼합하여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3) 추가 구성(ex, 담지체)와의 조합 |
특정 담지체에 결합하거나 특정한 추가 구성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경우에 특허가 될 수 있습니다.
<사례>
실리카 나노입자를 담지체로 사용하여 항균 물질 F를 담지한 경우.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는 다공성 구조의 폴리머 패트릭스에 물질 G를 포함시킨 경우
항균소재특허 등록 위해 필요한 데이터
1) 성능 데이터
① 테스트 결과: 다양한 미생물(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대한 성능을 입증하는 테스트 결과
일반적으로 최소억제농도(MIC), 최소살균농도(MBC), 활성 평가 등의 시험 결과를 포함
2) 소재 특성 데이터
① 물리적, 화학적 특성: 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예: 강도, 내구성, 열 안정성 등)을 입증하는 데이터
② 소재의 조성: 소재의 정확한 조성과 물질의 농도 및 배합 비율
3) 안정성 및 안전성 데이터
① 안전성 평가: 물질 및 소재의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 평가 결과. 독성/피부 자극/환경영향 평가 등의 데이터를 포함
4) 제조 방법
① 제조 공정: 제조 방법 및 공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 합성 방법, 배합 비율, 제조 조건 등의 데이터를 포함
5) 비교 데이터
① 기존 기술과의 비교: 기존 기술 또는 상업화된 제품과의 비교 데이터. 성능, 내구성, 안전성 등에서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자료.
항균소재특허 전공 변리사와 함께 출원하세요!
지식재산권으로 사업가의 성공을 돕고, 그러한 성공으로 세상에 공헌하고자 하는 당소의 신념을 인정해주시고,
당소와 함께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드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컨설팅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기율특허 변리사에게 문의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