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왜 지금, ‘동남아 특허출원’이 중요한가?
최근 한국 기업들의 동남아 진출이 급격히 늘면서 현지 특허출원 전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는
아세안(ASEAN) 시장의 핵심 국가이자, 지식재산권(IP) 집행력이 높은 지역입니다.
하지만 국가마다 심사 절차, 언어, 관납료, 평균 소요 기간이 모두 달라
정확한 정보 없이 출원하면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특허 실무 기준으로 동남아 5개국 특허출원 절차·비용·전략 포인트를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1. 베트남 특허출원 절차 및 비용
언어: 베트남어
평균 심사기간: 3~5년
절차
1️⃣ 출원서 제출 → 방식심사 (약 1개월)
2️⃣ 공개: 출원일로부터 18개월 후
3️⃣ 심사청구: 출원일로부터 42개월 이내
특징
심사 지연이 잦아 PPH 우선심사(KR, JP 등) 적극 활용 권장
최근 전자 시스템 도입으로 절차 간소화
관납료 (공식 수수료)
기본 출원료: 약 30 USD
청구항 추가(제6항부터): 약 8 USD/항
청구료: 약 120 USD
전략 TIP
➡ 베트남은 PPH 협정국과의 우선심사 신청으로 심사 기간을 최대 1~2년 단축할 수 있습니다.
2. 태국 특허출원 절차 및 비용
언어: 태국어
평균 심사기간: 5~7년
절차
1️⃣ 출원 → 방식심사 (1개월)
2️⃣ 공개: 출원일로부터 18개월 후
3️⃣ 평가청구: 출원일로부터 5년 이내
특징
심사 적체가 심각, PPH 제도 없음
출원 초기에 청구항 설계 및 ASPEC 활용 계획 필요
관납료
출원료: 약 30 USD
청구항 추가: 약 6 USD/항
청구료: 약 45 USD
전략 TIP
➡ 태국은 심사 지연이 길기 때문에 ASPEC 제출을 통한 평가 순서 단축이 필수입니다.
3. 인도네시아 특허출원 흐름과 주의점
언어: 인도네시아어
평균 심사기간: 4~6년
절차
1️⃣ 출원 → 방식심사 (1개월)
2️⃣ 공개: 출원일로부터 18개월 후
3️⃣ 실체심사 청구: 출원일로부터 3년 이내
특징
심사 적체 심각 (5년 이상 지연 사례 다수)
ASPEC(ASEAN Patent Examination Co-operation) 활용 가능
관납료
출원료: 약 45 USD
실체평가 청구료: 약 225 USD
전략 TIP
➡ ASPEC 제출 + 해외 등록결과 활용 시 평균 1~2년 단축 가능
➡ 실체심사 청구 시기 조율이 중요 (지연 방지)
4. 말레이시아 특허제도 특징
언어: 영어 또는 말레이어
평균 심사기간: 일반 3~5년 / 수정심사 1~2년
절차
1️⃣ 출원 → 방식심사 (1개월)
2️⃣ 공개: 출원일로부터 18개월 후
3️⃣ 심사청구: 출원일로부터 18개월 이내
4️⃣ 일반심사 or 수정심사(Modified Examination) 선택 가능
특징
수정심사 제도: 미국·유럽·한국 등 등록특허와 동일 청구항 제출 시 1~2년 내 등록 가능
ASPEC 우선심사 지원
관납료
출원료: 약 65 USD
심사청구료: 약 105 USD
전략 TIP
➡ 빠른 등록이 필요하다면 “수정심사 제도” 활용
➡ 해외 등록특허가 있는 경우, 동일 청구항 제출로 등록 기간 단축
5. 싱가포르 특허출원 절차 및 비용
언어: 영어
평균 심사기간: 일반 2~3년 / 가속 시 1년 이내
절차
1️⃣ 출원 → 방식심사 (1개월)
2️⃣ 공개: 출원일로부터 18개월 후
3️⃣ 심사청구: 출원일로부터 3년 이내 (최대 18개월 연장 가능)
4️⃣ 자체 평가 vs 해외 등록특허 기반 평가 중 선택
특징
심사 속도가 빠름
ASPEC 및 PPH 모두 활용 가능
해외 등록특허 기반 평가 시 절차 간소화
관납료
출원료: 약 110 USD
심사청구료: 약 900~1,400 USD
전략 TIP
➡ IP FAST 프로그램으로 1년 내 등록 가능
➡ 글로벌 진출을 위한 허브 국가로 추천
ASPEC 제도 완전 정리
ASPEC (ASEAN Patent Examination Co-operation) 은
아세안 회원국 간 특허심사 협력 프로그램으로,
한 국가에서 긍정적 심사결과를 얻으면 다른 회원국에서도 우선적으로 검토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참여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브루나이
장점:
심사 기간 1~2년 단축
평가 일관성 확보, 등록 가능성 제고
추가 수수료 없음
주의:
등록을 보장하는 제도는 아님
각국 특허청은 독립적인 판단 유지
동남아 특허출원 전략 TIP 3가지
1️⃣ 빠른 등록이 필요하다면
말레이시아: 수정심사(Modified Examination) → 1~2년 내 등록
싱가포르: IP FAST 프로그램 → 1년 내 등록 가능
2️⃣ 심사 지연 국가(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는
ASPEC 또는 PPH를 활용해 평가 순서 단축
초기 청구항 설계에서 시장 보호범위 중심으로 전략 수립
3️⃣ 비용 효율 전략
태국·베트남은 관납료가 저렴한 편 (30~50 USD 수준)
싱가포르는 비용이 높지만 심사 속도가 빠름
예산 계획 시 공식 수수료 + 현지 대리인 비용 함께 고려
결론: 동남아 특허출원, 전략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동남아 특허출원은 단순한 등록 절차가 아니라,
각국의 심사 정책·언어·비용 구조를 이해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베트남·말레이시아·싱가포르는
ASPEC, PPH, 수정심사 제도 등 다양한 가속 평가 루트를 활용하면
등록 기간을 1~2년 이상 단축할 수 있습니다.
빠른 심사 = 빠른 시장 진입
강한 권리화 = 경쟁사 견제 + 투자 유치
기율특허법인은
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 전 지역의
출원·번역·ASPEC 연계 전략을 원스톱으로 제공합니다.
특허청 홈페이지 [바로가기]